본문 바로가기
M-Story 생활정보

야간·휴일에도 진료하는 병원을 찾고 있다면?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이용하세요

by 미라클스토리아 2025. 3. 19.
반응형

📰 서울시, 야간·휴일 소아 진료 병원 확대 운영!

안녕하세요, 부모님들! 아이가 갑자기 밤에 열이 나거나 주말에 아플 때 어디로 가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서울시에서 야간과 휴일에도 소아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을 확대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야간·휴일 소아진료 병원 운영
  •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지정해 의료 공백 최소화
  • 응급실 과밀화 방지와 지역별 의료 격차 해소 기대

서울시, 야간·휴일 소아 진료 병원 확대 운영!

📍 야간·휴일 진료 가능한 소아과, 어디에 있을까?

서울시는 평일 늦은 시간이나 주말·공휴일에도 경증 소아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을 지정했습니다. 현재 서울시에는 약 50여 곳의 소아과 의원과 병원이 지정되어 있어요.

이 의료기관들은 주로 일반 소아 질환(발열, 감기, 소화기 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으며, 만약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대형병원 응급실과 연계하여 신속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이용 Tip: 지정된 의료기관 목록과 운영 시간은 서울시 홈페이지나 120 다산콜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1. 미래소아청소년과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142
    • 전화번호: 02-2692-2211​​
  2. 하늘별소아청소년과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020
    • 전화번호: 02-933-8275​​
  3. 연세이문소아청소년과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 전화번호: 02-965-8875
  4. 장스소아청소년과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100
    • 전화번호: 02-372-8275
    • 운영시간: 평일 19:00~21:00
  5. 아이들소아청소년과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34, 4층 (행당동)
    • 전화번호: 02-2298-0144
  6. 연세성심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571, 홈플러스 지하1층 (천호동)
    • 전화번호: 02-476-2211
  7. 24시열린의원 (목동)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1, 109호 (목동 현대드림타워)
    • 전화번호: 02-2644-2475
  8. 24시열린의원 (잠실)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7, 2층 205-206호 (잠실동 파크인수)
    • 전화번호: 02-415-2475
  9. 365다움의원
    •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왕십리민자역사 4층 (행당동)
    • 전화번호: 02-2297-1755
  10. 24시열린의원 (상암)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396, 누리꿈스퀘어 지하층 B1095호 (상암동)
    • 전화번호: 02-2132-2475

이러한 의료기관들은 야간 및 휴일에도 소아 환자에게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님들의 걱정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방문 전 각 의료기관의 운영시간과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왜 이런 정책이 필요했을까?

최근 몇 년간 소아청소년과 폐업이 증가하고 전공의가 부족해지면서 소아 진료 공백이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야간이나 주말에는 소아 환자를 위한 의료기관이 턱없이 부족해 대형병원 응급실이 과밀화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죠.

또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늦은 밤이나 주말에 병원을 찾는 보호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의료 공백을 줄이고 응급실 이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운영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미 일본,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지역별 야간·휴일 소아과 운영으로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방식을 시행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이런 정책을 통해 소아 의료 환경이 개선되길 기대해봅니다.

📊 이 정책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소아 환자 보호자의 의료 부담 완화

  • 늦은 시간, 주말에도 아이가 아프면 걱정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어요
  • 응급실로 가지 않아도 되어 비용 부담이 줄어들죠
  • 의료기관을 미리 확인하고 방문할 수 있어 대기 시간도 단축됩니다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해소

  • 경증 소아 환자가 응급실 대신 일반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어요
  • 응급실 의료진의 부담이 줄어 정말 응급한 환자 치료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의료 격차 완화

  • 서울시 내 의료 취약 지역에도 소아 진료 병원을 확보할 수 있어요
  • 응급의료체계와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마치며

아이가 아플 때, 언제든 병원에 갈 수 있어야 부모의 마음도 놓이는 법이죠. 의료 공백을 줄이려는 이런 정책이 더 많아져서 부모님들의 걱정을 덜어주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지역에 있는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을 미리 확인해두시면 급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을 거예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을 공유해주세요!

  • 야간·휴일에 아이가 아파서 병원을 찾았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 우리 동네에 있는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을 이용해보셨다면 어땠나요?
  • 소아 의료 정책에 대해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세요!
반응형